본문 바로가기
생활의꿀팁

로스쿨 입학방법 정리

by 우르고니 2021. 4. 8.

 

현대사회에서 대한민국에서 법을 잘 아는 것이 정말 중요합니다. 근대 사회에서 주요 정치인들이 법률가 출신인 것에는 다 이유가 있죠. 

 

보통 사람들은 법적인 지식이 부족합니다. 그래서 각종 법적인 분쟁에 휘말렸을때에는 약자가 될 수밖에 없습니다. 그래서 여전히 변호사나 검사 판사들이 강력한 권력을 가지고 있는 것입니다.

 

예전에는 사법고시를 통해서 변호사나 검사 판사가 되었지만 이제는 로스쿨을 통해서 변호사가 되고 있습니다. 각종 법률과 관련된 전문가가 되기 위해서 로스쿨에 들어가는 방법에 대해서 한번 이야기해보려고 합니다.

 

로스쿨이란?

 

 

로스쿨은 법률 전문가를 양성하기 위한 3년제 법과 대학원입니다.

 

과거에 한국에서는 고졸이든 중졸이든 사법고시라는 국가고시를 통과하면 사법고시 점수에 따라서 판사, 검사, 변호사가 될 수 있었습니다. 

 

 

하지만 이런 사법고시의 패해가 너무 많아서 미국의 로스쿨 제도를 도입하여 2009년부터 운영하고 있습니다. 이에 대한 논란은 여전히 많지만 사법고시가 다른 해외의 제도보다 법률 전문인을 육성하는데 부족함이 있었고, 각종 고시 낙오 생을 만들어내며 법조의 배타적 폐쇄성이 짙어졌던 부분이 있었습니다. 

 

이제는 내가 대학교를 졸업하고 로스쿨을 준비해서 대학원생으로서 3년간 로스쿨을 마치고 나면 법조인이 될 수 있습니다.

 

 

로스쿨 입학시험 : 리트

 

 

로스쿨에서 가장 중요한 시험이 있다고 한다면 바로 리트입니다. 리트는 1년에 딱 한 번밖에 보지 않습니다. 이걸 쉽게 통과하고 높은 점수를 가진 사람이라면 쉽게 로스쿨에 입학할 수 있습니다.

 

리트는 정말 아쉬운 게 암기과목이 아닙니다. 노력만으로 되는 그런 시험이 아니라는 거죠. 내가 공부한 부분이 시험에 나오는 게 아니라 짧은 시간에 얼마나 많은 내용들을 빠르게 파악해서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과 적성을 판단하는 시험입니다.

 

어떤 부분에서 보면 IQ 테스트와 상당히 닮아있습니다만 언어적인 감각과 능력이 필요한 것입니다. 내가 아무리 엉덩이로 노력한다고 해서 잘 볼 수 있는 그런 시험이 아니기에 많은 수험생들과 로스쿨을 준비하는 분들을 절망에 빠트리는 시험이기도 합니다.

 

 

언어적인 감각과 적성이 뛰어나다면 공부를 많이 안 했는데도 높은 점수가 나오는 사람도 있는데, 반대로 언어에 대한 능력이 부족하다면 몇 년을 봐도 시험 점수가 낮아서 떨어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걸 가지고 수험생들은 리트형인간이라는 말까지 있습니다. 훈련을 지속적으로 한다면 그래도 공부를 안 하는 것보다는 낫고 또 일정 수준 점수를 높일 수 있겠습니다. 

 

평소에 책을 많이 읽어 왔는가가 굉장히 중요합니다. 여기에 더해 논리와 비판적 사고가 필요합니다. 단순히 현상을 단면적으로 받아들이는 것이 아니라 통찰하고 논리적으로 확장하고 표현해내는 것에 대해서 잘해야 합니다.

 

언어 논리학에 대한 공부가 선행되어 있다면 리트에서 더 높은 점수를 받을 수 있겠습니다.

 

기출문제 중심으로 공부를 많이 하게 됩니다. 보통 1년 정도는 준비하는 편입니다. 최근에는 리트와 관련된 인강 들도 나와 있어서 이것들도 도움을 많이 주게 됩니다.

 

 

영어도 필수지

 

 

리트 다음으로 중요한 게 있다고 한다면 바로 영어성적 시험 점수입니다. 로스쿨마다 요구하는 시험 종목이 조금씩 다른데 어떤 곳은 토익이나 텝스를 어떤 곳은 토플이나 아이엘츠 점수를 요구하게 되어있습니다.

 

가고자 하는 로스쿨의 전년도 입시요강을 보면 어떤 영어점수가 필요한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걸 미리 알아두고 해당 시험의 영어 성적을 취득해두어야겠습니다.

 

영어점수에 있어서는 해당 로스쿨에서 요구하는 기준이 넘어가면 크게 우대하거나 하지는 않습니다. 그럼에도 영어에 대해서 크게 자신이 없는 분이라면 이 점수 기준을 충족하는 게 쉽지 않으니 미리미리 준비하는 게 좋겠습니다.

 

제2외국어 성적도 어느 정도 높으면 가점이 되는 곳이 있습니다. 하지만 없다고 해서 못 가는 것은 아닙니다. 

 

학점도 중요하다

 

 

로스쿨에 들어가기 위해서는 그동안의 성실성을 측정하는 학점을 봅니다. 학점이라는 게 요즘 워낙에 다 상향평준화되어 있어서 지원하는 분들 대부분 다 4.0 이상인 경우가 많습니다.

 

내가 대학생활 때 학점 관리를 잘해두었다고 한다면 로스쿨에 들어가는데 적어도 마이너스 요인이 되지는 않겠습니다. 하지만 내가 만약에 학점을 무슨 2점대를 가지고 있다면 아무래도 로스쿨 들어갈 때 학점이 발목을 잡을 수도 있겠습니다. 요즘에는 학점이 변별력이 많이 떨어져서 조금 덜 보는 추세이기는 합니다.

 

 

로스쿨 자소서와 면접

 

 

입사를 하려면 자기소개서와 면접을 봐야 하듯이 로스쿨을 입학하기 위해서도 마찬가지입니다. 일단 앞서 살펴본 리트와 학점 영어성적을 다 갖추면 이 자소서와 면접을 써야 합니다. 

 

학교에 따라 다르겠지만 내가 리트나 학점에서 부족한 부분이 있다면 막판 뒤집기를 할 수 있는 부분이 또 자소서와 면접이라고 합니다. 

 

리트점수가 그렇게 높지 않고 학점도 그리 높지 않다고 하더라도 내가 정말로 로스쿨에 가고자 하는 이유와 뜻이 있는걸 자소서와 면접에서 어필할 수 있다고 한다면 그래도 합격의 가능성을 조금이라도 더 높일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해봅니다.

 

물론 리트와 학점도 높고 영어성적도 좋은 사람이 자소서와 면접도 잘 볼 수도 있겠지만, 세상에 그렇게 완벽한 사람은 많지 않습니다. 

 

학교별로 리트, 학점, 자소서와 면접 비중이 조금씩 다 다르니 이런 걸 확인해보고 내가 면접에 자신 있다고 하시는 분들이라면 더 집중적으로 준비해보면 좋겠습니다.

 

사회경험

 

 

자소서나 면접을 쓸 때 중요한 건 우리가 할 말이 없다는 겁니다. 관련한 경험들이 있다고 한다면 충분히 플러스 요인이 되겠습니다. 적어도 법률사무소에서 알바라도 해보든가 사무보조라도 해보는 게 좋습니다.

 

이외에도 법 동아리와 법과 관련된 사회활동, 학회 대회 활동들을 꾸준히 했다고 한다면 충분히 경력적인 요소가 반영될 수 있겠습니다.

 

법도 법이지만 그중에서도 내가 전문화시킬 수 있는 특별한 무언가가 있다면 더 좋겠습니다.

 

로스쿨이 도입된 이유가 다양한 분야에서 속했던 사람들이 법 관련해서 일을 할 수 있게 되면서 더욱더 법조계를 더욱 풍성하게 하고자 하는 취지가 있었습니다. 

 

이런 내용도 한번 면접과 자소서에 잘 녹여서 이야기하면 좋은 점수를 얻을 수 있지 않을까 싶습니다.

 

 

좋은 대학 나와야 로스쿨도 간다?

 

 

로스쿨이 학벌을 보지는 않습니다. 물론 교차지원도 가능은 합니다. 예를 들면 내가 어디 지방대를 나왔는데 연세대나 고려대 서울대 로스쿨에 입학하는 경우도 있을 수는 있습니다.

 

하지만 실제로 이게 아무리 학벌을 보지 않는다고 하더라도 워낙에 서울대 법대 나온 애들이 똑똑하고 열심히 하다 보니까 자기 자신의 학부 이상의 대학을 가는 게 어느 정도 선 이상부터는 쉽지가 않습니다.

 

학벌로 차별하지 않는다고 하더라도 그냥 원래 공부 잘하던 애들이 리트점수도 높고 자소서도 잘 쓰고 면접도 잘 보고 각종 사회활동이나 스펙도 좋은 경우가 많으니 뽑히는 겁니다. 

 

로스쿨 입학 나이는 상관있나?

 

 

로스쿨을 뽑을 때 학벌이나 성별에 의한 차이가 없듯이 나이에 의한 차별도 없습니다. 나이가 많다고 한다면 30대 중후반 40대도 직장 생활하다가 로스쿨에 진학하시는 분들도 있습니다.

 

그런데 과거에 대학을 다니셨던 분들은 요즘애들과 다르게 영어점수도 낮고 학점도 낮은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그리고 입시를 위한 공부를 안 한 지 오래되었기 때문에 차별이 없다고 하더라도 팔팔하고 머리 쌩쌩 돌아가는 20대 친구들과 경쟁한다는 게 쉬운 일은 아닙니다.

 

하지만 나이가 있는만큼 사회경험과 연륜 면접이나 자소서에서는 강한 부분이 있습니다. 게다가 나이가 들어도 언어감각이 뛰어나신분들 확실한 목표의식이 있으신분들이 많습니다.

 

 

 

'생활의꿀팁'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간호조무사 자격증 따려면 어떻게하나  (0) 2021.06.30
사회초년생 재테크 방법  (0) 2021.04.16
전원주택 사진모음  (0) 2021.04.13
타운하우스 단점  (0) 2021.04.10
간호조무사 자격증 따려면 필독  (0) 2021.04.09